티스토리 뷰
웹 서버 Web Server
- HTTP 기반으로 동작
- 정적 리소스 제공
- 정적(파일) HTML, CSS, JS, 이미지 영상
- 예) NGINX, APACHE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 Web Application Server)
- HTTP 기반으로 동작
- 웹 서버 기능 포함 + (정적 리소스 제공 가능)
-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해서 애플리케이션 로직 수행
- 예시) 사용자에 따라 다라서 다른 데이터, 화면 등을 보여줄 수 있음. 코딩을 하기 때문에
- 예) Tomcat, Jetty, Undertow
즉, 둘의 큰 차이는 웹 서버는 정적 리소스(파일), WAS는 애플리케이션 로직
웹 시스템 구성 - WAS, DB
- WAS, DB 만으로 시스템 구성 가능
- 단, WAS가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하면, 서버 과부하 우려
- HTML, CSS, JS 등은 값이 싸다(단순).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매우 비쌈
-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정적 리소스 때문에 수행이 어려울 수 있음
- WAS 장애시 오류 화면도 노출이 불가능해진다
웹 시스템 구성 - WEB, WAS, DB
- 웹 서버: 정적 리소스 처리
- WAS: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로직 전담
- 웹 서버는 잘 죽지 않음 (정적 리소스)
- WAS, DB 장애시 웹 서버에서 오류 화면 제공 가능
-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 가능
- 정적 리소스가 많으면 Web 서버 증설, 애플리케이션 리소스가 많으면 WAS 서버 증설 가능
서블릿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다양한 업무를 처리해줘 개발자는 의미있는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음.
- 서버 TCP/IP 대기, 소켓 연결
- HTTP 요청 메시지 파싱
- Content-Type 확인
- HTTP 응답 메시지 생성 등등 많은 기본적인 업무 존재
@WebServlet(name = "testServlet", urlPatterns = "/test")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 애플리케이션 로직
}
}
- urlPatterns(/test)의 URL이 호출되면 서블릿 코드 실행
- HTTP 요청과 응답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HttpServletRequest/Response 제공
서블릿 컨테이너
- 톰켓처럼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
- 서블릿 객체를 생성, 초기화, 호출, 종료하는 생명주기 관리
-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
- 동시 요청을 위한 멀티 쓰레드 처리 지원
동시 요청 - 멀티 쓰레드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
- 쓰레드 생성 비용은 매우 비쌈
-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면 응답 시간이 늦어짐
- 쓰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 발생
- 쓰레드를 옮길 때 마다 드는 비용
- 쓰레드 생성에 제한이 없다.
- 고객 요청이 너무 많으면 CPU, 메모리 임계점을 넘어서 서버가 죽을 수 있음
해결 방법 "쓰레드 풀"
- 필요한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
- 쓰레드 풀에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를 관리
- 쓰레드가 필요하면 이미 생성되어 있는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서 꺼냉 사용
- 사용을 종료하면 해당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반납
- 쓰레드가 모두 사용중이어서 쓰레드 풀에 쓰레드가 없다면 요청 거절 및 대기 설정 가능
- 쓰레드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므로 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 절약, 응답 시간 빠름
-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
쓰레드 풀 실무 팁
- 최대 쓰레드 수 (max thread)
- max thread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 동시 요청이 많으면 서버 리소스는 여유롭지만, 클라이언트는 금방 응답 지연
- 너무 높게 설정하면
- 동시 요청이 많으면 CPU, 메모리 리소스 임계점 초과로 서버 다운
WAS의 멀티 쓰레드 지원
- 멀티 쓰레드에 대한 부분은 WAS가 처리
- 개발자는 싱글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듯이 편리하게 개발 가능
- 멀티 쓰레드 환경이므로 싱글톤 객체(서블릿, 스프링 빈)는 주의해서 사용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Studio에서 배포한 프로젝트 웹 뷰 띄우기 (0) | 2022.09.18 |
---|---|
[Web] REST API (0) | 2022.04.06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Network
- 자료구조
- Spring
- REST
- S3
- API
- xml
- Programming
- codedeploy
- Singleton
- 알고리즘
- Java
- TopologicalSort
- Android
- dijkstra
- BeanDefinition
- solid
- db
- C++
- 소셜로그인
- IntelliJ
- hoppy
- mybatis
- 위상정렬
- configuration
- HTTP
- Test
- 안드로이드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