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 전송 방식 (크게 2가지) 쿼리 파라미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메시지 바디를 통한 데이터 전송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 전송 4가지 상황 정적 데이터 조회 동적 데이터 조회 HTML Form을 통한 데이터 전송 HTML API를 통한 데이터 전송 (직접 구현) HTML Form은 GET 전송도 가능 단,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면 안됨. queryparmeter 형식으로 데이터 전송 HTML Form 전송은 GET, POST만 지원 HTTP API 데이터 전송 HTTP API 설계 예시 HTTP API - 컬렉션 POST 기반 등록 HTTP API - 스토어 PUT 기반 등록 HTML FORM 사용 웹 페이지 회원 관리 GET, POST만 지원 회원 관리 시스템 API 설계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모든 것이 HTTP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API)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HTTP 역사 그 전은 생략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가장 중요한 버전 RFC2068 (1997) > RFC2616 (1999) > RFC7230 ~ 7235 (2014) HTTP/2 2015년: 성능 개선 HTTP/3 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P/3 현재 HTTP/1.1 주로 사용 HTTP/2, HTTP/3 도 점점 증가..

IP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역할 지정한 IP 주소 (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패킷(통신 단위)으로 데이터 전달 클라이언트 to 서버 통신 클라이언트 IP: 100.100.100.1 서버 IP: 200.200.200.2 서버 to 클라이언트 통신 송/수신 간에 패킷은 다른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질 수 있다.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그램 구분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구분하는가? 통신 대상이 서비스 불능일 때 패킷 전송 패킷 손실 패킷 전달 순서 문제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
- Total
- Today
- Yesterday
- S3
- solid
- Programming
- API
- 위상정렬
- HTTP
- 자료구조
- Spring
- Android
- db
- TopologicalSort
- C++
- BeanDefinition
- IntelliJ
- configuration
- 알고리즘
- hoppy
- Network
- Java
- Test
- xml
- aws
- REST
- codedeploy
- dijkstra
- 안드로이드
- 소셜로그인
- mybatis
- Singlet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